연구센터 소개 및 비전
서울대학교 건강·돌봄 AI센터(SNU AI Health & Care Center, SNU AIHC)는
서울대학교 AI연구원 산하 선도혁신연구센터로,
AI 기반 건강·돌봄 연구와 기술 혁신을 위한 다학제 융합연구 그룹입니다.
AI 기술을 기반으로 글로벌 고령화 시대의 헬시에이징을 실현하고, 지속가능한 돌봄 혁신을 선도하며,
연구·기술 응용·사회적 영향 분석·정책 개발과 평가를 통해 미래 건강·돌봄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비전
서울대학교 AI연구원 건강돌봄AI센터(SNU AIHC)는 초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AI 기반 건강 및 돌봄 융합 연구 플랫폼으로 다음과 같은 비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 초고령화와 보건안보 시대 건강돌봄 AI 연구 담론과 의제 선도
– 디지털 헬스케어 시대의 공공적, 포용적, 윤리적 건강·돌봄 AI 연구, 개발, 혁신사업 수행
– AI 연구를 통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민·관·학·연 소통과 협업의 hub
서울대학교 AI연구원의 건강·돌봄 AI 연구 추진전략 클러스터
▶️ 2024년 센터 과제
✔️ 주제
AI 개발에서 적용으로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과제와 방안: 시니어케어 AI를 중심으로
✔️ 목표
1. 한국 시니어 케어 AI 서비스의 활용·확산을 위한 과제에 대한 정책연구
2. 건강보험-장기요양보험 빅데이터 이용한 AI/ML 실증연구
3. 과제기획 및 지원과 아젠다 발굴
4. 센터 다학제 세미나/심포지엄 운영을 통한 AI 돌봄 집단 연구과제 지원계획 구체화
✔️ 연구 내용

1
한국 시니어케어 AI 서비스의 개발·활용을 위한 정책 과제 연구
급격한 고령화에 대응해 AI/ML 기반 시니어케어 서비스를 통한 개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인식되나, 연구되어 있는 기술에 기반한 서비스 개발 및 활용이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원인에 대해 문헌연구, 대국민 인식조사 자료 분석,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다면적 장애요인들을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합니다.
2
건강-돌봄 빅데이터를 이용한 노인 시설화 ML/AI 예측모델 사례연구
건강보험과 장기요양보험 전국민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장기요양자의 입원·입소·사망에 대한 설명가능한 ML/DL 모델 구축 연구를 수행 합니다. 결과의 정책과 실무 관점의 실효성, 실용성, 향후 연구 아젠다 도출을 목표로 합니다.


3
다학제 세미나 운영을 통한 네트워킹 및 집단과제 아젠다 발굴과 기획
AI 건강·돌봄센터라는 빅 텐트 하에 복수의 융합 집단 과제 개발과 수행의 기반을 마련하고, 서울대 교원과 국내외 민·관·산·학·연 전문가를 연자로 한 정기 세미나/포럼을 구성·운영합니다. 잠정적 주제로는 돌봄로봇, AI 챗봇, 디지털치료제, 헬스케어 혁신 거버넌스와 기술평가 등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