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과 고령사회 대국민 인식조사
조사 개요
구분 | 설명 |
---|---|
조사명 | 인공지능과 고령사회 대국민 인식조사 |
조사목적 | AI와 고령사회에 대한 인식 변화를 확인하고 관련 정책 및 서비스 개발의 기초 자료 제공하고자 함 |
조사주체 | 서울대학교 AI 건강·돌봄센터, MIT AgeLab 협력 |
조사시점 | 2021, 2023 (2년주기) |
조사방법 |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 대상 웹 기반 온라인 조사 |
조사내용 | 응답자의 기술/인공지능에 관한 전반적 인식과 더불어, 인공지능이 주로 활용될 수 있는 5대 영역 각각에 대하여 위험 정도, 유익 정도, 개발 속도 조절에 대한 인식, 규제 필요성에 대한 인식, 효과성에 대한 인식, 활용∙채택 의향을 질문
|
조사흐름 | ![]() |
주요 결과
– 한국인은 도구적(보조·지원) 용도로의 인공지능 활용을 선호함
– 영역별 위험·유익 인식과 활용 의향에 차이가 있으며, ‘건강 돌봄’영역에서의 인공지능이 유익하며 활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 남성과 고학력, 고소득자들이 기술에 익숙하고 인공지능의 유익을 높게 평가함. 연령 간 인식 차이는 문항 영역에 따라 명확치 않은 것으로 확인 됨
–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은 고정적이지 않고 새로운 기술과 현상의 경험에 의해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남
– 전반적인 인공지능 활용 및 채택 의사가 높은 편이며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남. 특히, 재무 영역은 5대 영역 중 인공지능 활용 및 채택 의사 증가 양상이 가장 뚜렷한 것으로 확인됨
– 여러 영역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맞춤형, 개인화 서비스에 대한 선호가 관찰됨
– 전반적으로 위험도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였으며, 이와 같은 위험 인식은 인공지능 규제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것으로 보임